은행 영업시간 정리, 주말에도 영업해주면 안되나요? ㅜㅜ

2020년 06월 28일 by 잡다구리89

    은행 영업시간 정리, 주말에도 영업해주면 안되나요? ㅜㅜ 목차

각 은행별 영업시간을 정리해 봤어요. 

 

은행 영업시간 별거 아니지만 직장인들 퇴근시간보다 일찍 끝나니 참 답답한 점이 많잖아요? 

은행들 영업시간 알아보자

KB국민은행 영업시간: 오전 9시~오후 4시

신한은행 영업시간: 오전 9시~오후 4시

우리은행 영업시간: 오전 9시~오후 4시

KEB하나은행 영업시간: 오전 9시~오후 4시

시티은행 영업시간: 오전 9시~오후 4시

SC제일은행 영업시간: 오전 9시 30분~오후 4시 30분

우체국 은행 영업시간: 오전 9시~오후 4시 30분

 

대부분 비슷하고 우체국이 가장 오래 영업하네요.

다들 점심시간 브레이크 타임 없이 운영합니다.

(그래도 돌아가면서 식사를 하니 열려있는 창구가 조금 적기는 할 거예요.)

대기번호 저러면 슬프죠...

은행들이 주말에도 영업 안 하는데, 칼같이 낮에만 문을 여니 같은 시각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직장인들은 은행 업무 보러 가려면 점심을 포기하고 가서 창구에 대기표를 뽑아서 기다려야 하지요. 

(요즘 비대면 은행 업무 등 서비스가 활성화되는 이유가 이런 불편함 때문 아닐까 싶네요.)

 

그렇다면, 일찍 문을 닫는 은행들은 그대로 퇴근하는 걸까요?

 

아니죠. 은행 셔터가 내려와도 안에는 불이 켜져 있고 해가 질 때까지 은행원들이 일을 하고 있습니다.

보통 저녁 8시까지 마무리 업무를 한다고 하네요.

 

우선적으로 오후 4시에 고객 마감을 하면 창구에서는 그날 받은 돈을 정산하는데요. 

전산기록상 들어온 돈과 실제 현금이 단돈 10원이라도 차이가 나면 안 되기에 하루 업무 중 가장 중요한 업무입니다. 

 

다음은 그날 받은 자기 앞 수표, 어음, 각종 지로 전표 들을 타 은행들과 교환 처리해야 하는 것들을 은행끼리 교환을 합니다. 

은행 간 이체 수수료가 거의 없어진 요즘은 이 런 은행 간 처리 업무가 많아졌겠네요. 

 

또 학생일 때는 갈 일이 없었지만, 회사 다니면서 번호표를 뽑게 되는 기업 창구! 

여기는 사실 일반 창구보다 한가해 보이고 실제로도 손님이 적어서 마감 후 일찍 끝나기도 하지만, 신용분석 등 움직이는 돈이 큰 창구이다 보니 어쩔 때는 일반 창구보다 마감이 더 늦어질 때도 있다고 해요.

셔터가 내려지면 두번째 일과를 시작하는 은행

어릴 때는 그저 은행에서 일하면 일찍 끝나고 좋겠다~ 했는데, 사실은 닫힌 문 뒤에서 남들보다 늦게까지 일하는 은행원들이셨어요. ㅎㅎ

 

스마트폰과 인터넷 뱅킹이 발달하고, 카카오 뱅크 등 은행이 아닌 금융 플랫폼이 늘어나고 있어서 앞으로 은행을 직접 방문하는 일이 점점 줄어들 것 같네요. 

 

뭐. 시대희 흐름이라는 것이겠지요. 

 

 

 

반응형